고민시 나이 mbti 소속사 키 몸무게는??

인간의 존재에 관한 물음은 사실 철학의 중심 주제가 됩니다.
철학은 인간인 우리들 자신에 관해 참다운 앎을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자연의 존재들 가운데 인간만이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고 반성할 줄 아는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인간을 논리적으로는 대상으로 삼고 있으나 그 실상은 나는 무엇인가라는 자아에 대한 철학적 반성인 것입니다.
이성은 신으로부터 주어진 인간의 초월적 본질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에서 작용하고 있는 추리와 판단의 기능에 불과한 것입니다. 인간은 어떤 고유한 본질을 지닌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연에 같은 근원을 둔 존재자들 사이의 관계에 의해서만 규정될 수 있을 뿐입니다. 인간이 인식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연이나 세계도 인식의 주체인 인간과 대립되어 있는 객체로서 대상이 아니라 그 안에서 인간의 삶이 체험하고 있는 관계의 세계인 것입니다.
자연에서 뻗어나온 한 생물로서 인간 존재의 구조를 살펴보면 인간은 생각하고, 말하며, 행동하는 구조적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내면에서는 욕망과 무의식이 그것을 작동시키는 에너지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는 것일까
인간이라는 명사는 류를 지칭하는 보편적인 개념이나 실재하는 인간은 개체들로서 생활 방식이 다르며 선택이 다르고 각자가 지향하는 목적이 다릅니다. 구조는 같으나 인간이 지향해야 할 어떤 주어진 목적이 없습니다.
인간은 동물들과는 다르게 의미의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의미는 언어에 의해 발생합니다. 언어는 자연과의 관계에서 얻어진 체험을 표현하며 의사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발생한 것입니다. 인간이 지각한 내용으로써 경험을 반성하고 연상을 하거나 예측을 하면서 관념들을 결합시키는 것은 언어를 통해서입니다. 즉,. 의식은 언어에 의존해 사유합니다. 의식의 구조는 언어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언어의 형식을 통해 현실을 의미의 세계로 경험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의미의 세계에 살면서 희망과 좌절, 성공과 실패를 논하고 토론하면서 인간 관계의 갈등을 빚기도 합니다. 인간은 언어의 세계에 진입하면서 자아가 형성됩니다.
인간이 언어의 주체가 되어 타자와 대립되어 있는 자아가 각성될 때 자기 외부의 세계를 대상으로 분리시키며 주객으로 나누어 인식이라는 사유작용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로부터 지속과 변화라는 존재의 실상은 언어의 기호에 의해 분절되고 고정되면서 그 참모습이 가리워져버립니다. 이러한 의미라는 허상의 세계에서 집착심이 유발되며 자연을 지속시키는 자기 실현의 생성 에너지는 욕망으로 변질되는 것입니다. 이로 말미암아서 소유욕과 지배욕에 의한 투쟁은 인간의 역사 속에서 그칠 날이 없습니다. 그렇다고해서 인간이 언어를 포기할 수도 없으며 의미의 세계로부터 이탈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언어는 인간을 본질적으로 동물로부터 구별해주는 인간 존재의 범주가 됩니다.
이러한 언어의 인식 구조로 말미암아서 인간은 관념의 세계에 살면서 존재의 무상성에 부딪히자 괴로움을 느끼는 것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